하루 종일 조는 아이 기면증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하루 종일 조는 아이 기면증

by ☆★○☆★☆★ 2023. 6. 11.

하루 종일 조는 아이 기면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도 때도 없이 조는 아이 단지 잠이 많아서일까요? 많은 분들이 아직어려서 그런다고 생각하실텐데요. 크나큰 착각입니다.

아이-기면증
하루종일 조는 아이

 

 

 

 

 

 

 

새학기 봄철, 시도 때도 없이 조는 아이는 ‘기면증’일지도 모릅니다!

새 학기에 아이들이 수업 중 계속 졸음을 느낀다면, 봄철 춘곤증 때문일까요? 아닙니다, 이런 증상이라면 수면장애인 ‘기면증’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우리 아이가 기면증을 겪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주간에 갑자기 잠에 빠지는 졸림증이 특징인 기면증의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뇌의 시상하부에서 잠을 깨우는 각성 호르몬인 '히포크레틴'이 잘 분비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기면증으로 진료 받는 환자는 얼마나 될까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2017년에는 4544명, 2019년에는 5528명, 2021년에는 5810명이 기면증으로 진료를 받았습니다. 특히 2021년 기준으로 19세 이하 환자는 14.3%, 29세 이하 환자는 54.4%를 차지하며, 젊은 층의 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기면증은 수면 시간을 늘리면 자연적으로 낫는다고 생각하시나요?

국내 기면증 환자는 약 40만 명으로 추산되지만, 실제로 진단 받고 치료 중인 환자는 극히 일부입니다. 상태에 따라 병역 면제를 받을 수 있는 희귀‧난치성 질환인 것이죠.

 

 

기면증의 일반적인 자가 진단법을 알아봅시다!

다음의 4가지 중 3가지 이상 해당하면 기면증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1. 조용한 환경에서 과도한 졸음을 느낀다

2. 순간적으로 잠에 빠지고, 자고 나면 일시적으로 개운하다

3. 수면시간이 8시간 이상이어도 낮에 심하게 졸린다

4. 가위눌림, 잠들 때나 잠에서 깰 때 환각 증상, 수면 중 각성에 따른 잦은 야간 수면 단절이 있다.

국가에서 무료로 검진해주니 확인해보세요

 

아이가 기면증 혹은 과다수면을 의심할 때는 어떤 때일까요?

1주일에 4번 이상 수업시간에 존거나, 낮잠을 2~3시간 자는 경우, 아이의 기면증 혹은 과다수면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기면증은 낮에 심하게 졸리기만 한다고 생각하셨나요?

실은 기면증과 함께 동반되는 여러 가지 증상들이 있습니다. 몸에서 힘이 갑자기 빠지는 탄력 발작, 수면 중 몸이 안 움직이는 가위눌림, 선잠에 따른 수면 중 환각, 수면 곤란 등 다양한 증상을 동반합니다.

 

 

기면증 & 과다수면이 있을 때 신체 상태는 어떨까요?

수면 시간이 아무리 길어도 개운한 느낌이 없고, 충분히 잔 후에도 계속 졸립니다. 생활에 활력이 없고, 피로가 지속되며, 기억력‧판단력‧학습력이 낮아집니다. 또한 쉽게 짜증을 내고, 신경질적이기도 합니다.

 

 

기면증을 방치하면 신학기에 ‘학습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학습 능력을 끌어올려야 하는 학창 시절에 기면증이 찾아오면 자신감과 의욕이 떨어집니다. 새롭고 복잡한 문제, 창의력‧재치‧순발력 등을 필요로 하는 상황을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결국 새학기 학습장애로 이어질 수 있어서 의심 증상이 있으면 방치하지 말고 검사를 통해 필요한 경우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면증의 ‘진단 & 치료’로 정상적인 생활을 돕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기면증은 수면다원검사, 다중잠복기검사로 진단합니다. 확진되면 약물‧행동‧양압기 치료를 병행하여 치료합니다.

 

 

새학기 봄철, ‘기면증’ 관리 TIP!

낮에 갑자기 잠드는 기면증은 순식간에 혼미한 정신 상태로 빠뜨립니다. 특히 신체가 완전한 통제 불능 상태가 될 수도 있어서 꼭 치료해야 하는 수면 질환입니다. 우리 아이가 수업 중이나 낮에 꾸벅꾸벅 조는 횟수가 급격히 늘고, 열심히 공부해도 성적이 오르지 않으면 기면증‧과다수면을 의심해봐야 합니다.